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8)
연산 장치의 구성 이름 기능 ACC ( ACCumlator ) 누산기 산술 및 논리 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 Adder 가산기 누산기와 데이터 레지스터의 값을 더하여 누산기에 저장 Data Register 데이터 레지스터 연산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일시적인 저장을 위해 사용되는 레지스터 Status Register 상태 레지스터 CPU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레지스터 각 비트별로 조건을 할당 Complementer 보수기 뺄셈이나 나눗셈 연산을 위해 보수로 바꾸어 가산하는 장치
제어 장치의 구성 제어 장치 구성 이름 기능 ( Memory Addres Register ) 기억 번지 레지스터 기억 장소의 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 Memory Buffer Register ) 기억 버퍼 레지스터 기억 장치를 통해 접근되는 정보의 내용을 기억하는 레지스터 ( Instruction Register ) 명령 레지스터 현재 수행중인 명령어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Instruction Decoder 명령 해독기 IR에 기억된 명령들을 해독해서 각 장치에 제어 신호를 보냄 PC ( Program Counter ) 프로그램 카운터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의 번지를 기억하는 제지스터 Encoder 부호기 중앙처리 장치에서 실행하기 위한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각 장치에 보냄
하드웨어의 기본 중앙 처리 장치( Central Processing Unit ) ˙각 부분의 동작을 제어하고 연산을 수행한다. ˙제어 장치와 연산 장치로 구성된다. 레지스터 ˙중앙 처리 장치 내의 고속 임시 기억 장치이다. ˙자료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크기는 워드 크기와 메모리 용량에 달라진다. 제어 장치 (Control Unit) ˙입출력, 연산, 기억 장치 등을 감시, 감독하는 역할 ˙프로그램의명령을 해독하여 각 장치에게 처리하도록 지시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명령어의 처리가 순서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연산 장치 (ALU : Arithmetic & Logix Unit) ˙프로그램의 사칙, 논리 연산을 수행 ˙비교 및 판단, 데이터의 이동, 편집 등을 수행
컴퓨터의 세대별 발전과 특징 구분 주요소자 연산속도 사용언어 특징 제1세대 진공관 ms (10^(-3)) 기계어,어셈블리어 속도 느림, 하드웨어 중심 제2세대 트랜지스터 µs (10^(-6)) COBOL, FORTRAN, ALGOL 등 고급언어 발명, 소프트웨어 중심 운영 체제 등장 제3세대 직접 회로 ns (10^(-9)) BASIC, PASCAL, LISP PL/1 등 시분할 처리(TSS),다중 처리 시스템, 경영 정보 시스템등이 발명 제4세대 고밀도 직접 회로 ps (10^(−12)) C 언어, ADA 등 가상 기억 장치, 슈퍼 컴퓨터 개발, 분산 처리 장치, 네트워크 발달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화 제5세대 초고밀도 집적 회로 fs (10^(−15)) C++, Java, Delph 등 인공 지능,퍼지 이론,전문가 시스템 패턴 인..
정보 처리 속도 단위 LIPS (Logical Inference Per Second) 1초 동안 실행 가능한 논리적 추론 횟수 KIPS (Kilo Instruction Per Second) 1초 동안 1000개의 연산을 수행 MIPS (Million Instruction Per Second) 1초 동안 1백만 개의 연산을 수행 FLOPS (FLoating-point Operation Per second) 초당 수행 가능한 부동 소수점 연산 MFLOPS (Mega FLoating-point Operation Per second) 초당 1백만 회 수행 가능한 부동 소수점 연산 GFLOPS (Giga FLoating-point Operation Per second) 초당 10억 회 수행 가능한 부동 소수점 연산 ※ 부동소수점 - ..
처리 속도/ 기억 용량 단위 처리 속도 단위 처리 속도 단위 기억 용량 단위 ms (milli) 10^(-3) KB(kilo) 2^10 (Byte) 1,024(Byte) µs (micro) 10^(-6) MB(mega) 2^20 (Byte) 1,024(KB) ns (nano) 10^(-9) GB(giga) 2^30 (Byte) 1,024(MB) ps (pico) 10^(−12) TB(tera) 2^40 (Byte) 1,024(GB) fs (femto) 10^(−15) PB(peta) 2^50 (Byte) 1,024(TB) as (atto) 10^(-18) EB(exa) 2^60 (Byte) 1,024(PB) ※ 처리속도의 지수(제곱하는 횟수)가 (-)부호인 이유는 그만큼 시간이 더 적게 걸릴수록 효율 ↗ ※ 반대로 기억 용량은 많을..
기계식/전자식 컴퓨터 기계식 계산기 파스칼의 치차식 계산기 - 톱니바퀴 원리, 가감식 계산기 라이프니츠 가감승제 계산기 - 치차식 계산기 보안, 가감승제 가능 배비지 (차분 기관) - 삼각함수 계산 가능 (해석 기관) - 현재의 디지털 컴퓨터의 모체(근본) 홀러러스의 PCS(punch card system) - 천공 카드 시스템(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해 카드에 구멍뚫어서 용), 미국의 국세 조사에 사용, 일괄 처리의 효시 마크원(MARK-1) - 에이컨 제작( 하워드 에이컨 사람 이름임), 최초의 기계식 자동 계산기 전자식 컴퓨터 에니악 - 최초의 전자계산기,외부 프로그램 방식, 에커트&모클리가 제작 에드삭 - 최초의 프로그램 내장 방식 도입, 윌키스가 제작 유니박 - 최초의 상업용 컴퓨터, 국세 조사 및 미국 인구의 통계 조..
컴퓨터의 정의/특징/정보처리 과정/구성 정의 - 프로그램이 지시하는 절차에 따라 자동적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장치 특징 - 정확성,신속성,자동성,대용량성,호환성,범용성 정보 처리 과정 - 자료(입력) → 처리(CPU) →정보(출력) 구성 - 내부장치 [ 제어장치,주기억장치,연산장치 ] 외부장치 [ 입력장치,보조기억장치,출력장치 ] GIGO - Garbage in Garbage out 쓰레기가 들어가며 쓰레기가 나온다. 올바른 입력 → 올바른 출력 이라는 의미 컴퓨터의 수동성을 나타냄